영상수필 - 앙코르왓 여행기

고산지 팀의 앙코르 여행기 - 71 * 보트피플

高 山 芝 2013. 12. 3. 13:02

 

보트피플이란 어원은 바다에서 배를 띄워 그 배 안에서 사는 사람 또는 해로로 비공식적으로 배를 몰고 탈출하는 사람을 뜻하는 단어였다. 베트남 전쟁 이후부터 보트피플이 인도차이나에 급격히 증가하면서 보트피플은 베트남 사회주의 공화국, 라오스 인민 민주 공화국, 민주 캄푸치아를 해로로 통해 탈출하는 사람들을 지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보트피플은 월남과 월맹이 통일되기 전인 베트남 전쟁때 부터 속출하기 시작했는데 그 이유는 베트남 공화국베트남 민주 공화국의 수중에 떨어질 날이 얼마 남지 않았다는 불길함 때문이었다. 대체로 보트피플 구성원들은 남베트남에서 위의 정치인, 군인, 관료, 교사를 했거나 프랑스령-인도차이나 시절에 프랑스 정부 밑에서 일을 했던 친불파들과 부유층 즉, 부르주아 계층과 그리고 1978년부터는 캄보디아와 베트남 간의 국경분쟁으로 탓에 화교탄압으로 인해 화교들이 보트피플이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

자본주의 체제이자 자유 민주주의제였던 이남의 베트남 공화국(베트남어: Việt Nam Cộng Hòa)과 사회주의 체제이자 인민 민주주의제였던 이북의 베트남 민주 공화국(베트남어: Việt Nam Dân Chủ Cộng Hòa)으로 갈라져 있던 베트남은 베트남 전쟁으로 인해 남베트남이 베트콩들에 의해 전복되고 사회주의 체제의 남베트남 공화국을 수립되면서부터 보트를 이용해 국외로 탈출하는 인도차이나권 난민들을 가리킨다. 베트콩(베트남어: Việt Cộng)은 1974년 남베트남 공화국을 수립하고 그들이 칭하는 소위 반동분자 색출에 나섰다. 남베트남은 북베트남과 달리 미국과 서방의 투자율이 높았었고 부유층들이 북베트남에 비해 많았다. 사실상 북베트남의 지령을 받고 있었던 남베트남 공화국 정권은 이들을 사회주의 체제에 동화시킬 수 있나에 의구심을 품게 되었고 이러한 부유층, 중산층을 탄압하였고, 종교인을 탄압하게 되었다.

북베트남의 정치 지도자들은 위기의식을 느껴 1975년 통합작업을 서둘렀고 북베트남 위주의 평화통일이 되자 북베트남은 생산수단을 국유화, 집단화하고 경제활동을 강력히 통제하기 시작했고 주요 당조직과 행정조직은 북쪽의 공산당원이 거의 독점하였다.

종교활동은 표면적으로 허용된 것과 달리 이들은 공산주의 자체의 유물사관을 실현하기 위해 종교인은 탄압의 대상이 되었다. 그들이 규정한 반동적인 정치인, 군인, 관료, 교사 등 이른바 '특권계층'들은 수용소에 들어가 사상개조를 받게 되거나 평생 노동만 하다가 죽게 된다. 그 과정에서 심각한 인권유린이 발생하였고 그 결과 1973년부터 1988년 사이에 총 약 100만 명이 통일조국을 버리고 자유를 위해 해로(海路)를 통한 탈출을 시도했다. 보트피플은 1973년부터 속출되었으며, 1975년에서 1978년 사이에 정점을 찍다가 그 이후부터는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했다. 1988년 이후 부터는 베트남의 특유 경제정책인 도이 머이 정책(베트남어: Đổi mới??)에 의해 베트남 경제가 안정화되었고 보트피플은 크게 발생되지는 않았다.

보트피플은 베트남인만 있었던 것이 아니었다.라오스와 캄보디아가 공산화되고나서 남베트남의 현상과 똑같이 그곳에 있던 부유층들과 중산층, 그리고 반공주의자들과 관리들이 보트피플이 되거나 랜드피플이 되었다. 라오스의 경우는 라오스 왕국의 정권 하에 파테트라오(라오어: ປະເທດລາວ)를 탄압한 우익인사들이 숙청당했고 그들은 역시 랜드피플과 보트피플이 되었다. 캄보디아의 경우 폴 포트가 공산정권인 민주 캄푸치아를 세우면서 마오이즘을 기점으로 대량의 부유층, 중산층, 상공층, 반동분자들을 숙청하면서 이로인해 역시 여러 우익인사들과 중산층, 부유층, 관리들이 보트피플이 되었다.

 

월남이 패망하자 보트를 타고 탈출한 난민인 보트피플이 공산화 된 후에 귀국하려는데 배신자라며 귀국을 못하게 하자 인근의 캄보디아로 망명하려 하는 것을 거부하니 이들이 오도 가도 못하자 국경에 위치한 우리나라 경상 남,북도를 합친 면적과 같다는 톤레샵 호수에 수상가옥을 짓고 거주하게 되어 수상가옥이 탄생한 것이라고 하는데 현재 약 15,000명이 거주 한다고 하며 흙탕물의 수상가옥에서 숙식을 하고 대소변을 보고 그 물에 목욕하고 식수를 사용하고 물고기를 잡아 시장에 내다 팔아 생활하는데 그 더러움이라는 이루 말 할 수 없는 참상을 겪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