祝詩 - 고산지 詩伯님의 시집 <상선약수마을>과 한국판 쉰들러리스트 무계 고영완의 일대기 <계곡의 안개처럼 살다>의 출간을 경하드리며 祝詩 - 고산지 詩伯님의 시집 <상선약수마을>과 한국판 쉰들러리스트 무계 고영완의 일대기 <계곡의 안개처럼 살다>의 출간을 경하드리며 원광문학회 회장 장 재 훈 시인(2017년 4월 22일) 상선약수는 진달래, 산나리, 백합 피어있는 그윽한 골짜기를 지나 개울로, 강으로, 바다로, .. 상선약수마을 2017.05.02
제 4부 전설과 설화편(傳說.說話篇) - 국로(國櫓). 무계(霧溪) 그리고 우복동(牛腹洞)에 얽힌 ...... 제 4부 전설과 설화편(傳說.說話篇) - 국로(國櫓). 무계(霧溪) 그리고 우복동(牛腹洞)에 얽힌 ...... 1] 국로(國櫓) 고제환(高濟渙) 헌종 9년, 1843년 12월 26일 34세에 무과에 급제한 국로 고제환은 선전관(宣傳官)의 명을 받고 16세의 헌종(憲宗)을 호위(護衛)한다. 1849년 6월 6일, 23살의 나이로 헌종.. 상선약수마을 2017.05.01
제 3부 고을과 마을편(故鄕,村落篇) 제 3부 고을과 마을편(故鄕,村落篇) 상선약수(上善藥水) 마을 - 평화리(平化里) 유래 억불산(億佛山) 입구에 위치한 평화마을(平化村)은 고려시대(918∼1392), 억불산(億佛山) 봉수대(烽燧臺)를 관리하던 병정들이 거주하는 정화소(丁火所)의 소재지였다. 고려 말 왜구토벌에 공을 세운 신경원.. 상선약수마을 2017.05.01
제 2부 정화다소편(丁火茶所篇) 제 2부 정화다소편(丁火茶所篇) 1] 다소(茶所)의 정의 소(所)제도는 염소(鹽所), 자기소(瓷器所)와 같이 서민집단이 거주하는 특수 행정구역으로 삼국시대부터 고려, 조선초기까지 있었던 지방제도이다. 고려시대는 금소(金所), 은소(銀所), 동소(銅所), 철소(鐵所), 사소(絲所), 주소(紬所), .. 상선약수마을 2017.05.01
제 1부 송백정편(松百井篇) 제 1부 송백정편(松百井篇) 송백정(松百井) 배롱나무 군락지인 송백정(松百井)은 내 유년의 원천(源泉)이자 상상력(想像力)의 근원지(根源地)이다. 송백정(松百井)이라고도 하고 송백정(松柏亭)이라고도 불리었다 흐드러진 백일홍 꽃이파리 흩날리는 송백정(松百井) 연못 위에 내 유년(幼.. 상선약수마을 2017.05.01
상선약수(上善藥水) 마을 차례 상선약수(上善藥水) 마을 차례 제1부 송백정편(松百井篇) 1) 송백정(松百井) * 1 2) 송백정(松百井) * 2 3) 송백정(松百井) * 3 4) 송백정(松百井) * 4 5) 송백정(松百井) * 5 6) 송백정(松百井) * 6 7) 송백정(松百井) * 7 8) 송백정(松百井) * 8 9) 송백정(松百井) * 9 10) 송백정(松百井) * 10 11) 송백정(松百.. 상선약수마을 2017.05.01
시집 “상선약수 마을”을 발간하면서 - 고 산 지 시집 “상선약수 마을”을 발간하면서 - 고 산 지 - 지금은 상선약수 마을로 불리는 아름다운 동네에서 필자는 태어났다. 억불산(億佛山) 연화봉에 있는 봉수대(烽燧臺) 관리를 위해 병정들이 모여서 성촌이 된 상선약수 마을에는 지방문화재로 지정된 고영완(高永完)의 고택(古宅) 정화.. 상선약수마을 2017.05.01
순수하고 아름다웠던 시절 / 창조문예(創造文藝)와 고산지 시인 - 정 건 섭(詩人, 作家) 순수하고 아름다웠던 시절 - 창조문예(創造文藝)와 고산지 시인 - 정 건 섭(詩人, 作家) < 등 잔 불> 나, 주 안에서 빛이라 세상을 밝히는 빛의 자녀 되었지만 나 혼자선 선(善)을 행할 수가 없었네 등잔 없인 등불 켤 수 없듯이 심지 없인 등잔불을 켤 수가 없었네 도움 없인 아무 것도 .. 상선약수마을 2017.05.01
시집, 상선약수(上善藥水) 마을 평설 - 이삼헌(시인, 수필가) 시집, 상선약수(上善藥水) 마을 평설 - 이 삼 헌(시인, 수필가) 몸을 낮춰 흐르는 상선약수(上善藥水) 마을에서 어머니의 고향 같은 따뜻한 언어로 우리 곁에서 물흐르 듯 편안한 시를 써온 고산지 시인이 이번 세 번째 시집 「상선약수(上善藥水) 마을」을 펴냈다. 사금파리 같은 내 유년(.. 상선약수마을 2017.05.01
고산지 시인 출간예배(북 콘서트) 고산지 시인 출간예배(북 콘서트) 시집「상선약수마을」과 한국판 쉰들러리스트 무계 고영완의 일대기 「계곡의 안개처럼 살다」의 출간예배에 초대합니다 때 2017년 4월 22일(토) 오후 3시 곳 의정부영락교회 3층 본당 찾아오시는 길 << 지하철이용시 1호선 회룡역에서 의정부경전철.. 상선약수마을 2017.05.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