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뿌리

高萬擧의 戀子詩

高 山 芝 2011. 6. 2. 20:07

           戀 子 詩(연자시)

                    高 萬 擧(강상구 번역)

 

使 

병을 앓고 나서 졸연히 읊은 ‘오언고풍오십구’를

집안의 아이에게 보내니 국가 업무에 힘쓸 때,

항상 보고 스스로 경계토록 하라.

1

재종형제가 모두 다 잇달아 (과거의 합격)방(문)이 붙으니

再從재종   聯련: 잇달아   一일: 모두다   榜방: ‘榜文’의 줄임(방에 붙인 글, 곧 과거에 합격함)

사람들이 세상에 드문 일이라 말하네.

疇주: 밭두둑(논밭에 모이는 세상 사람들) 云운: 말하다   稀희: 드물다   世事세사: 세상의 일

2

우리 조상님(의 영예에) 더한 것이 너희에게 있으니 (*곧 너희의 급제는 조상님의 영예에 더해진 것일 뿐이니)

汝여: 너희들   忝(첨): 욕되게 하다  我祖아조: 우리의 조상  

(문이 아니라) 문빗장(에 지나지 않는 것)을 어찌 영예롭다 말하겠는가!

門문: 집안   闌란: 문에 가로질러 막는 나무, 문빗장   豈기: 어찌   榮영: ‘榮華’

3

그러나 (내가) 마음(가운데)에 홀로 기뻐함은

雖수: 비록, ~라 하더라도   然연: 그렇다고   獨독: 홀로   喜희: 기뻐하다

(너희들이) 나라 (은혜)를 갚은 날이 많이 있을 것(이기) 때문 이다.

庶서: 많다   保國日보국일: 나라의 은혜를 갚을 날(때)

4

너희 어린 것들을 보고 (내가) 웃는 것(까닭)은

笑소: 웃다   爾이: 너   小兒輩: 어린이들

(너희들이) 벼슬하는 것은 손에 침 뱉는 것처럼 (쉽다고) 보기 (때문)이다.

靑雲청운: 높은 벼슬(에 대한 꿈)   唾타: 침을 뱉다   視시: 보다

5

(네가) 객지에서 (밥을) 먹은 여러 달 (동안)

旅여: 나그네 길   食사: 먹다   幾기: 몇   日月: 나날 다달

부자가 천리에 떨어져 있구나.

隔격: 사이가 떨어지다   千里천리

6

자식을 바라보는 산은 오히려 높기만 한데

望망: 바라보다   猶유: 오히려   屹흘: 산이 우뚝 솟다

그곳에 오르고자하는 마음은 더욱 더 간절하구나.

陟척: 오르다   彼피: 저. 그   懷회: 생각. 정. 마음   悠유: 생각하다. 멀다

7

(네가 올 날이) 오늘일까 또는 내일일까?

今日금일: 오늘   又우: 또는   明日명일: 내일

(집의) 문에 기대었다가 다시 (동네 어귀의) 이문(里門)에 기대(기다리)네.

倚의: 의지하다. 기대다   復부: 다시   閭려: 마을 어귀에 세운 문

8

西

(네가 있는) 서쪽이 아득히 (나아가) 멀지라도

西方서방: 서쪽   杳묘: 어둡다. 아득하다   何하: 얼마나. 어찌   許허: 어조사, 나아가다

밝은 해는 (나의 기다리는) 정성을 밝게 비추리라.

白日백일: 밝은 해   庶서: 많이   照조: 비치다. 비추다   誠성: 정성

9

(너 그리는 마음을) 골수에 새기면 (사무치면) 병이 될까 두려워

刻각: 새기다   髓수: 골수   懼구: 두려워하다   成성: 이루어지다. 되다   疾질: 병

마음을 너그럽게 하고 또 마음을 위로한다.

寬관: 너그럽다   且차: 또한  慰위: 위로하다   懷회: 마음

10

세상에는 아부하는 자들이 있으니

世세: 세상   阿附아부: 남의 비위를 맞추어 알랑거림  

(그들은) 염치도 없고 부끄러운 줄도 모른다.

沒廉몰염: ‘沒廉恥’몰염치   混혼: 섞다. 합하다   喪상: 잃다   恥치: ‘廉恥’ 부끄러움

11

(이런 염치를) 무릅쓰고 벼슬에 나아가 그 몸(의 명예)을 잊는 것을

冒모: 무릅쓰다   進진: 나아가다, 벼슬하다   忘망: 잊다. 끝나다

너에게 바라지 않는 바가 (내게) 있다.

爾이: 너   非비: 아니다   所願소원: 바라는 바

12

(네가) 품은 보배는 저절로 팔리니

懷회: 품다   寶보: 보배   豈기: 어찌, 발어사   自자: 저절로, 스스로   衒현: 팔다. 돌아다니면서 팔다. 자기를 선전하다

하늘의 뜻은 구중궁궐을 치기 때문이다. (즉 갖춘 실력이 있으면 아부하지 않아도 하늘의 뜻으로 왕에게 저절로 알려지게 된다.)

天門천문: 하늘에서 일어나는 온갖 현상   隔격: 치다(擊)   九重구중: ‘九重宮闕’의 준말. 궁궐

13

(우리 조상들께서) 책을 읽어 집안(의 영예)이 이미 높은데

讀書독서: 책을 읽다   堂당: 집(안)   已이: 이미   高고: 높다   箕기: 키   裘구: 가죽옷   爾이: 너   知지: 알다   否부: 아니다  

(너는 집안의) 대대로 전해 내려오는 가업(이러한 내력)을 아느냐 모르느냐? (즉 네가 급제한 것은 조상들께서 이미 이룬 전통임을 알라는 뜻)

*箕裘之業기구지업: 선조 대대로 전하여 내려오는 사업(弓匠의 아들이 키를 만들고, 工匠의 아들이 가죽옷을 만들었다는 故事)

14

용맹하고 용맹한 무인인 너는

赳규: 용감한 모양   武夫무부: 무인   汝여: 너  

(조상 대대로 이어온)구업을 어떻게 이어갈 수 있는가?

舊業구업: 전부터 행하여 온 사업, 집안의 전래된 사업   安안: 어찌   能능: can   繼계: 이어가다

15

당하관으로서 왕을 모시는 날에

郞官낭관: 조선 때 각 관아의 堂下官의 총칭   侍시: 모시다   御어: 임금  

(너는) 옛날을 돌아보고 또한 부끄러워해야한다.

稽계: 상고하다, 조아리다   亦역: 또한   可가: must   恥치: 도에 어긋남을 부끄럽게 여기다

16

인재를 선발함에는

甄견: 질그릇   拔발: 빼어나다 *甄拔: 재능이 있고 없고를 잘 가리어 인재를 등용함   誰수: 누구, 발어사

공정한 논의는 반드시 없어지지 않아 있어야 한다.

公공: 공적인 것   議의: 의논   必필: 반드시. 이루어내다   泯민: 멸망하다. 사라지다

17

요즈음 사람들은 착오가 많아서

時人시인: 그 당시의 사람   錯誤착오: 인식과 사실이 어긋남

옥석을 가리기 어렵구나.

玉石옥석: 옥과 돌   渾혼: 흐림. 섞임   難난: 어렵다   卞변: 법

18

아! 너는 고생하여 운수를 이룬 사람이니

嗟차: 아!   爾이: 너   窘군: 막히다, 고생하다   步보: 운수, 걸음   客객: 손님

처신은 촛불을 켜들고 길을 가듯 (조심)함이 마땅하다.

處身처신: 세상을 살아가면서 가지는 몸가짐이나 행위   宜의: 마땅하다   燭촉: 등불   道도: 길

19

벼슬하여 이름을 드날림이 너의 도모하는 바이지만

立揚입양: 立身하여 이름을 드날림   惟유: 도모하다. 꾀하다   汝여: 너   策책: 계책. 책략

(네가) 병에 걸릴까 이것을 내가 걱정하는 바이다.

疾病질병   是시: 이것   吾오: 나   憂우: 근심하다. 걱정하다

20

세월은 달리는 망아지를 문틈으로 보듯이 빠르니

年光년광: 세월   易이: 쉽다   隙극: 틈   駒구: 망아지 *隙駒: 마치 달리는 망아지를 문틈으로 보는 것과 같다(세월이 빠르다)  

젊어서 혈기 왕성할 때에 뜻을 펼쳐야 한다.

少壯소장: 젊고 의기가 왕성함   志지: 뜻   可가: must   展전: 펼치다

21

진실로 (믿기) 어려운 것은 저 하늘(의 운수)이니

難난: 어렵다   諶심: 진실. 참으로   彼피: 저, 발어사   蒼창: 무성하다, 창공(하늘)  

너는 넘어지고 헛디딘 것(실패)을 한탄하지 마라.

莫막: ~하지 않다   恨한: 한하다. 뉘우치다   蹉차: 실패하다. 때를 놓치다. 넘어지다   跎타: 헛디디다

22

내 나이 60이 되었으니

我齒아치: 내 이빨(나이)   當당: 대하다  耳順이순: 나이 60세를 일컬음

남은 생은 얼마나 있는고?

餘年여년: 여생. 죽을 때까지의 남은 생애   幾기 : 몇, 얼마

23

마침내 너희 형제는 좋겠지만

終종: 마침내   鮮선: 곱다   汝여: 너   兄弟형제  

늙은 아비와 어미가 곤궁하다.

白首백수: 허옇게 샌 머리. 늙은이  困곤: 괴롭다 爺야: 아비  孃양: 어미

24

달고 맛있는 것을 누가 줄 것이며

甘감: 달다   旨지: 맛있다   疇주: 누구   供공: 제공하다

자고 먹을 데 고생이 많구나.

寢침: 잠자다   辛신: 맵다, 고생하다  處처: 野에 있다

25

내 자신에 분노와 개탄이 더하고

附부: 붙다. 의지하다   躬궁: 몸. 자기 자신   增증: 더하다   憾감: 근심   慨개: 개탄. 슬픔. 분개

성공과 실패함은 일찍이 나로 말미암았다.

成敗성패: 성공과 실패   曾증: 일찍이   由유: 말미암다   余여: 나

26

여러 해 경영하여 재물을 모았으나

多年다년: 여러 해   營영: 경영하다   聚취: 모으다   財재: 재물

모두 다 흰 모래처럼 흩어졌다.(재산을 다 날렸다)

盡진: 모두다   隨수: 따르다   白沙백사: 흰 모래   散산: 흩어지다

27

竿

(생활이 어려워져) 생애가 장대 끝에 있는 것처럼 위태로워

生涯생애: 이 세상에 살아있는 동안. 일생   到도: 이르다. 도달하다   竿간: 장대   竿頭간두: ‘百尺竿頭’의 준말. 매우 위태로운 모양

빈 대광주리와 표주박에 저절로 (쓴) 웃음이 나왔다.

笑소: 웃다  簞단: 대로 만든 광주리. 대광주리에 든 밥   瓢표: 표주박. 표주박에 든 물   空공: 비다

28

네 어미의 ‘가난(해서 못살겠다)’는 잔소리에

爾이: 너   孃양: 어머니   貧빈: 가난하다   病병: 굳어진 좋지 않은 버릇   語어: 말

듣지 않으려고 귀를 막았다.

塞색: 막다   慾욕: 욕심내다   聽청: 듣다

29

두 아이들이 굶주림에 울던 날

兩兒양아: 두 아이   啼제: 울부짖다   飢기: 굶주리다

어미의 마음은 어떠했겠는가!

何如하여: 어떻게   渠거: 껄껄 웃다. 무엇

30

선비의 일상적인 일이니 그만 그치자.

已이: 그치다   矣의: 어조사(의문, 단정. 결정. 한정. 반어)   常상: 불변의 도

(굶주려서) 누렇게 뜨고 또 얼마나 상했는가를!

頷함: 굶주려 얼굴이 누렇게 뜬 모양   傷상: 이지러지다

31

근심 중에도 (내가) 몰래 기뻐함은

愁수: 시름   暗암: 몰래   喜희: 기쁘다

사람들이 뛰어난 사내아이가 있다고 말해서 이다.

奇(기): 뛰어나다

32

하늘이 어찌 무심할까?

天公천공: 하늘   豈기: 어찌

영웅도 때가 있어 만나게 된다.

風雲풍운: 영웅호걸이 두각을 나타내는 좋은 기운   會회: 만나다

33

임금을 섬겨 직분을 다하는 날

事君사군: 임금을 섬김   盡진: 다하다   職직: 직분  

자신이 나라에 목숨을 바칠 것을 받아들여야 한다.

許허: 받아들이다   身신: 나 자신   得득: can   殉순: 목숨을 바치다

34

우리 집안 세세토록 전해온 업은

吾오: 나

충효 외에는 구하지 않았다.

無무: 아니다

35

묻노니. 너희들은 뛰어난 아이들이 아닌가?

咨자: 묻다   汝여: 너   良량: 어질다. 뛰어나다

옛 (집안 전래의) 무(武)를 계승토록 하라.

見견: 피동의 동사(~하게 하다)   能능: can, must   踵종: 계승하다

36

처세와 수신의 도는

處世처세: 남과 사귀면서 세상을 살아감  

두루 (누구에게나 고르게)해야 마땅하고, 무리(黨派)를 짓는 것은 마땅치 않다.

宜의: 마땅하다   周주: 마음씨나 주의가 고루 미치다   比비: 무리를 이루다. 견주다

37

움직이고 그침은 반드시 삼가서 하고

動동: 움직이다(出)   止지: 그치다   須수: must   戒계: 삼가다. 조심하다   謹근: 삼가다. 조심하다

벼슬에 나아감은 반드시 경계하고 힘써야 한다.

進就진취: 나아가다. 벼슬하다   勅칙: 경계하다   勵려: 힘쓰다

38

나는 벗이라는 자를 (무조건) 숭상하는 것을 보는데

觀관: 보다   尙상: 숭상하다. 높이다

서로 속마음을 터놓고 살던 친구도 초나라와 월나라처럼 갈라지더라.

肝膽간담: 간과 쓸개 *肝膽相照간담상조: 서로 속마음을 터놓고 사귐   楚越초월: 초나라와 월나라(원수지간)   分분: 나누다

39

살가죽이나 터럭이라도 마음을 좇아 옮겨서 (내어)줄 것 같아도

彼피: 그   從종: 좇다   輸수: 옮기다

얼굴을 등지고는 모두 다 비웃더라.

背배: 등지다   皆개: 다, 모두   爲위: 하다   笑소: 웃다

40

교묘한 말과 낯빛으로 아첨하지 말라.

毋무: ~하지 말라.   貸대: 베풀다. 관대히 하다   巧令교령: ‘巧言令色’의 준말.   남의 환심을 사려고 아첨하는 교묘한 말과 보기 좋게 꾸민 얼굴빛    手수: 도움이 될 힘이나 행위  

남에게 화를 떠넘기면 마침내 후회하게 된다.

嫁가: 떠넘기다   禍화: 재앙   終종: 마침내   生생: 생기다, 낳다   悔회: 뉘우침. 후회

41

또한 마음을 드러내지 마라.

且차: 또   莫막: ~하지 말라   露로: 드러내다   心腸심장: 마음

마침내 그 사람에게서 배척당하는 바가 된다.

竟경: 마침내   爲위: 피동사(~하게 되다)   擠제: 배척하다

42

친하고 친하지 않고 간에 모두 다 그러하다.

親疎친소: 가깝고 멂   滔도: 넘치다  *滔滔: 넓고 기세 있게 흐름

아무개 아무개(는 그렇지 않다)라고 믿지 말라.

勿물: ~하지 말라   爲위: 하다   信신: 믿다

43

(남의) 허물을 들으면 (부모의) 이름을 듣는 것과 같이 (삼가서) 하라.

聞문: 듣다   過과: 허물   名명: 이름(여기서는 부모님의 이름)

(내가 입에서 더러운 말) 피를 뿜으면 먼저 (내) 입이 더러워진다.

噴분: 뿜어내다   血혈: 피   先선: 먼저   汚오: 더럽다   口구: 입

44

안으로 반성하는 것은 마땅히 병이 되지 않으나

省성: 살피다   宜의: 마땅하다   疚구: 오랜 병  

밖으로 헐뜯는 것은 진실로 두려워해야 한다.

謗방: 헐뜯다   眞진: 진실로   可가: must, should   怕파: 두려워하다. 부끄러워하다

45

평생 동안 몸을 보전하는 방법은

保身보신: 몸을 보전함   術술: 방법

(입에) 칼을 씌우고 (귀를) 막는 것만 같지 못하다.

若약: 같다   鉗겸: 칼을 씌우다   與여: and   塞색: 막다

46

술과 여색 또한 목숨을 상하니

酒色주색: 술과 여색   亦(역): 또   傷상: 이지러지다. 상하다   生생: 목숨  

술을 마시는 것을 탐하여 빠지지 않게 하라.

斟짐: 술 따르다   酌작: 따르다   勿물: 말라   沉침: 빠지다   饕도: 탐하다

47

근근이 살아가는 것은 (생활이 나아져서 옛날의) 어려움을 (되돌아보고) 기리기 얼마였던고

糊호: 입에 풀칠하다. 근근이 살아가다   幾기: 거의   賞상: 기리다   艱간: 어려움

악처는 빈 방(에서 홀로 사는 것)보다 낫다.

惡妻악처  勝승: 이기다. 낫다   空房공방: 혼자 자는 방, 혼자 사는 것

48

성심으로 (공적을) 쌓아도 혹시 펴지 못하면

素소: 誠心   蘊온: 쌓다   倘당: 혹시. 멈추다. 어정거리다   未미: 아직 ~하지 못하다   伸신: 펴다  

(벼슬을 버리고) 일찍 집으로 돌아옴만 같지 못하다.

莫如막여: ~같지만 못하다   早조: 일찍   還家환가: 집으로 돌아오다

49

다소라도 (너를) 깨우치는 말이니

喚환: 불러일으키다   醒성: 깨다   說설: 말  

정중히 받고 늙은이(의 잔소리)라고 말하지 마라.

敬경: 정중하다  勿謂물위: ~라고 말하지 말라.   耄모: 늙은이

50

시문을 끝내고 따로 생각나는 것은

篇편: 책. 완성된 시문   終종: 끝나다   別별: 따로   感감: 느낌

멀리서 주인의 은혜에 감사한다.

遙요: 멀다   謝사: 사례하다. 용서를 빌다  主人주인: 한 집안의 어른   恩은: 은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