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씨삼강문(高氏三綱門)
종 목 | 시도기념물 제12호 (남구) |
---|---|
명 칭 | 고씨삼강문(高氏三綱門) |
분 류 |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인물기념/ 사우 |
수량/면적 | 일곽 |
지 정 일 | 1985.02.25 |
소 재 지 | 광주 남구 압촌동 산14 |
시 대 | 조선시대 |
소 유 자 | 사유 |
관 리 자 | 장흥고씨문중 |
상 세 문 의 | 광주광역시 남구 문화사업추진단 062-650-7225 |
고씨삼강문은 임진왜란(1592) 때의 의병장 고경명(1533∼1592) 선생 일가의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정문(충신, 효자, 열녀들을 표창하기 위하여 무덤나 마을 앞에 세우던 붉은 문)으로, 1충(忠), 3효(孝), 2열(烈), 1절의(節義)의 7명이 표창되어 있다. 1충은 고경명, 3효는 그의 장남 종후, 차남 인후, 손자 부금이며, 2열은 그의 딸 장흥고씨와 조카며느리 광산정씨, 1절은 그의 동생 경형이다.
고경명은 조선 명종 13년(1558)에 과거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거쳐 선조 24년(1591) 동래부사를 끝으로 고향에 돌아왔다.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집하여 금산에서 왜병과 싸우다 차남 인후와 함께 전사하였다. 현존 건물은 1844년에 세운 것으로 지붕 옆선이 사람 인(人)자 모양의 맞배지붕에 앞면 4칸·옆면 1칸이다. 사방에 홍살문을 설치하여 내부를 차단하였으며, 앞뒤 2열로 현판을 걸었고, 건물 밖에는 담장을 두르고 외삼문을 세웠다. 이 정려는 임진왜란(壬辰倭亂) 때의 의병장(義兵將) 고경명(高敬命) 선생 일가(一家)의 충절(忠節)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것이다. 충렬공(忠烈公) 제봉(霽峰) 고경명 성생은 중종(中宗) 28년(1533) 이곳에서 태어나 명종(明宗) 13년(1558) 과거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거쳐 선조(宣祖) 24년(1591) 동래부사(東來府使)를 끝으로 낙향하였다. 선생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을 모집하여 금산(錦山)에서 왜병과 싸우다 두 아들과 함께 전사하였다. 이곳에는 고경명 선생을 비롯하여 진주성에서 전사한 효열공(孝烈公) 종후(從厚), 금산에서 전사한 의열공(毅烈公) 인후(因厚) 등 두 아들과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왜적을 만나 항거하다 순절한 그의 딸인 열녀(烈女) 장흥고씨(長興高氏)(영광유생(靈光儒生) 노상룡(盧尙龍)의 처)와 질부(姪婦)인 광산정씨(光山鄭氏)(고거후(高巨厚)의 처), 효자인 선교랑(宣敎郞) 고부금(高傅金)(선생의 손자)과 절의(節義)로 죽은 동생 고경형(高敬兄) 등 일가 7명이 모셔져 있다. |
'나의 뿌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高敬命 漢詩의 風格 硏究 (0) | 2011.06.11 |
---|---|
<百祥樓次韻(백상루에서 운을 빌어)> (0) | 2011.06.10 |
고의진(高義鎭)의 연자시 감상문 (0) | 2011.06.02 |
고오진(高五鎭)의 연자시 감상문 (0) | 2011.06.02 |
고익진(高益進)의 연자시 감상문 (0) | 2011.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