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자에게 먹히네 >
강을 건넌 후
언덕을 오르기 위해서는
타고 온 뗏목을 버려야 하는데
토끼를 잡고 나니
사냥개 삶아 먹는다며
세상 사람들 수군거리네.
고기를 잡고나면 통발을 버리고
뜻(意味)을 얻으면
상(象)을 잊어야 하는데
뜻(意味)을 얻고도
상(象)을 버리지 못한 사람들
욕망의 짐을 진 채
사자에게 먹히네.
토사구팽(兎死狗烹)에 대해서 두 가지 이야기가 전해 내려온다. 첫 번째는 중국 춘추전국시대의 범려(范蠡)는 월왕(越王) 구천(句踐)을 보좌해 춘추오패(春秋五覇) 중 한 사람으로 만든 명신(名臣)중의 명신이다. 패권을 차지한 뒤 구천(句踐)은 범려(范蠡)와 문종(文種)을 각각 상장군과 승상으로 임명하였다. 범려(范蠡)는 월왕(越王) 구천(句踐)을 고난은 함께할 수는 있지만, 영화를 함께 누릴 수는 없는 인물이라 판단하여 월나라를 탈출해 제(齊)나라에 은거했다. 범려(范蠡)는 문종(文種)을 염려하여 “새 사냥이 끝나면 좋은 활도 감추어지고, 교활한 토끼를 다 잡고 나면 사냥개를 삶아 먹는다(蜚鳥盡, 良弓藏, 狡兔死, 走狗烹)”라는 내용의 편지를 보내 피신하도록 충고하였으나, 문종(文種)은 월나라를 떠나기를 주저하다가 구천(句踐)에게 반역의 의심을 받은 끝에 자결하고 말았다. 토사구팽(兎死狗烹)은 이로부터 유래되었다.
두 번째는 유방(劉邦)을 도와 한(漢)나라를 세운 한신(韓信)의 일화이다. 천하를 통일한 유방은 일등공신 한신을 초왕(楚王)으로 봉하였다. 유방과 패권을 다투었던 항우(項羽)의 부하 종리매(鐘離眛)가 친구 한신(韓信)을 찾아가 몸을 의탁하였다. 유방은 종리매가 초나라에 있다는 사실을 알고 체포하라는 명령을 내렸으나, 한신은 유방의 명령을 따르지 않았다. 이 사실을 알게 된 유방은 진평(陳平)의 책략에 따라 초나라의 운몽(雲夢)을 순행한다는 구실로 제후들을 초나라 서쪽 경계인 진(陳)나라로 소집했다. 한신은 자신의 책사가 종리매의 목을 가지고 가라라는 계책을 내놓자 이를 종리매와 상의 했다. 종리매는 유방이 초(楚)를 침범하지 못하는 것은 자네 밑에 내가 있기 때문이다. 나를 죽여 유방에게 바친다면 자네도 얼마 안 가서 당할 것이다. 자네의 생각이 그 정도라니 내가 자네를 잘못 보았다는 말을 남기고 자결하였다. 한신은 종리매의 목을 유방에게 바쳤으나 유방은 한신을 포박하였다. 모반의 진상을 조사한 뒤 혐의가 없자 한신을 초왕(楚王)에서 회음후(淮陰侯)로 강등시켰다. 이에 한신은 “토끼를 잡고 나니 사냥개를 삶아 먹고, 천하가 평정되니 나도 '팽'을 당하는구나.”라며 한탄하였다.
토사구팽은 인간의 성정(性情)을 이해하지 못한 호사가(好事家)들의 이야기 이다. 노장학(老莊學)의 시조로 불리는 중국 위나라 출신의 왕필(王弼)은 자신의 저서 ≪주역주(周易注)≫에서 “말(言)이란 상(象)을 밝히기 위한 것이므로 상(象)을 얻으면 말(言)을 잊어버려야 한다. 상(象)이란 뜻(意)을 드러내기 위한 것이므로 뜻(意)을 얻으면 상(象)은 잊어버려야 한다. 그것은 마치 올가미가 토끼를 산 채로 잡기 위한 것이므로, 토끼를 얻은 후에는 올가미는 버리는 것과 같다. 그물은 고기를 산 채로 잡기 위한 것이므로, 고기를 얻은 후에는 그물은 버리는 것과 같다.”고 했다. 인간의 성정을 파악하고 있던 범려(范蠡)는 분수를 알았기 때문에 구천(句踐)으로부터 목숨을 구했다. 유방(劉邦)의 책사 장량(張良)도 마찬가지다. 그 또한 지족불욕(知足不辱)의 도리를 깨닫고 유방의 곁을 스스로 떠나 한신(韓信)과는 달리 목숨을 보존할 수 있었다.
청나라의 시인 왕사진(王士禛)은 그의 저서 향조필기(香祖筆記)에서 “강을 건너 기슭에 이르면 뗏목을 버리라는 비유를(捨筏登岸), 수행자들은 깨달음의 경계로 여기고(禪家以爲悟境). 시인들은 입신의 경지로 여기니(詩禪一致), 시와 선이 한 점에서 만나는 것에 어떠한 차별도 없다 (等無差別)” 라고 적고 있다. 깨달음을 얻은 뒤에는 배운 말과 글에 집착하지 말라는 교훈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주는 큰 울림이다. “만족할 줄 알면 욕되지 않고, 그만둘 줄 알면 위태롭지 않으니, 길이 오래도록 편안할 수 있다(知足不辱 知止不殆 可以長久)”는 노자(老子)는 도덕경(道德經) 말씀이 오늘따라 생각나는 아침이다.
'[ 발표작품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자시편 - < 아! 안중근(安重根) > - 한국문학신문 5월 25일(제547) (0) | 2022.05.27 |
---|---|
[오피니언리더] 이판사판(理判事判) - 한국장로신문 2022년 5월 24일 (0) | 2022.05.24 |
[오피니언 리더] 수치(羞恥) - 한국장로신문 2022년 4월 19일 (0) | 2022.05.17 |
연자수필 - < 이판사판(理判事判) > - 금강일보 2022년 5월 12일 13:58 (0) | 2022.05.17 |
연자시편 - < 미련(未練) > - 한국문학신문 5월 11일(제545) (0) | 2022.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