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1. 청사검(靑蛇劍) - 유래를 알 수 없으나, 청룡도와 대가 되는 검이 아닌가 짐작한다. 2. 두러메고 - 둘러메다 3. 백록(白鹿) - 흰 사슴. 희귀한 짐승 4. 지즐타고 - '눌러타고'의 옛말 5. 부상(扶桑) - 동녘 바다 가운데, 해가 떠오르는 곳에 있다는 뽕나무 같은 커다란 신목(神木), 또는 그 나무가 서 있는 나라 번뇌를 벗어나는 수도장 |
||||||
![]() | ||||||
|
||||||
청사검을 둘러메고, 고귀한 흰 사슴을 눌러타고서 동녘 바다 해뜨는 나라 부상에 황혼이 깃들 무렵, 신선들의 마을로 돌아 들어갔더니, 멀리 선국에서 울리는 쇠북과 경쇠의 맑은 소리가 구름 위로 들려 오더라. |
||||||
![]() | ||||||
고경명[1533-1592] |
||||||
임진란 때의 의병장이다. 서사(書史)를 즐겼으며, 우애가 깊고 매우 고결한 사람이었다.
명종대에 무과에 올라, 벼슬이 군자감정(軍資監正)·승문원판교(承文院判校)·동래부사를 거쳐 공조참의(工曹參議)에 올랐으나, 당시 그를 비난하는 자가 있어 벼슬을 내놓고 고향으로 돌아갔다. 선조 25년에 일본군이 들이닥치자 그는 전라도 장흥에서 일어나 격문을 각지로 보내어 의병 일천명을 모아 가지고 북상 금산에서 일본의 대군을 맞아 격전을 거듭하다가 아들 인후와 더불어 장렬한 전사를 하였다. |
'나의 뿌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 경 명(高敬命)과 유 팽 노(柳彭老) (0) | 2011.05.30 |
---|---|
고경명의 詩 - 立 馬 沙 頭 別 - (0) | 2011.05.30 |
[허성(허균의 중형)과 霽峰 (0) | 2011.05.30 |
[조용헌 살롱에 실린 재봉 고경명 집안 -조선일보 2008년 3월 3일자 ] (0) | 2011.05.30 |
[ 고경명의 문적 ] (0) | 2011.05.27 |